목회칼럼 20 페이지


  • About Church
  • 교회소개

목회칼럼

Total 116건 20 페이지
  • 2
    더욱 그리스도인다워지다 2020.05.31좋은비전교회
    [더욱 그리스도인다워지다 ] 조선시대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인 상촌 신흠(象村 申欽)은 자신의 수필집 [야언, 野言]에 다음과 같은 한시를 남겼습니다.오동은 천년을늙어도 늘 노래를 간직하고 (桐千年老恒藏曲)매화는 한평생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梅一生寒不賣香)달은 천 번을이지러져도 근본은 남아있고 (月到千虧餘本質)버들은 백번을 꺾여도 다시 새 가지가 돋아난다. (柳經百別又新枝) ‘오동나무다움’은 천년의 세월이 흘러도 자기의 노랫가락을간직함에 있고, ‘매화다움’은 일평생 모진 추위 속에서도 자신의 향기를 잃어버리지 않음에 있으며, ‘달다움’은 수없이 많은 변화를 거듭해도 자신의 근본을잊지 않음에 있고, ‘버드나무다움’은 수백 번 가지가 꺾이고 떨어져 나가도또다시 새로운 가지를 만들어 냄에 있습니다. 이 시를 대하며 ‘그리스도인다움’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지금 자신이 머물고 있는 자리는 주님이 보내신 곳이고,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그 일은 주께서 맡기신 직분이며, 지금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모든 상황 속에는 주님의 분명한 계획과 목적이 있음을 믿고, 매 순간 ‘주의 말씀을 삶의 기준’으로 삼을 때에 ‘그리스도인다움’은 나타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인해 함께 모여예배드리지 못한지 2개월이 훌쩍 넘어 버렸습니다. 사랑하는 성도여러분, 지금까지 잘 견뎌 오셨습니다. “견딤이 쓰임을 결정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견딤의 크기가 쓰임의 크기를, 견딤의 기간이 쓰임의 길이를 결정한다는 뜻입니다. 견딤은 미래의우리를 준비하는 과정이고, 견딤이 있은 후에는 귀하게 쓰이는 결과를 맞이하리라 확신합니다.지금 이 견딤과 기다림의 시간 동안, 주님의 음성을 더 들으려, 주님의 손을 더 붙잡으려 힘쓴다면 어제보다 더욱 그리스도인다워진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
    Read More +
  • 1
    두 마리의 개를 조심하라 2020.05.24좋은비전교회
    [두 마리의 개를 조심하라. ]사람들은 누구나자기 나이만큼 키워 온 두 마리의 개(견, 犬)가 있는데, 하나는 ‘선입견(先入見)’이고, 다른 하나는 ‘편견(偏見)’이라고 합니다. 물론 ‘견’의 한자는 다르지요. ‘볼 견(見)’자를 발음이 같은 ’개 견(犬)’자로 바꾸어 희화화했지만, 우리 내면의 민낯을 보여주는뼈있는 이야기입니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 할 것없이 [선입견]과 [편견]은 존재했었고 지금도 만연합니다.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선입견(先入見)의 뜻을 찾아보니, “어떤 대상에 대하여 이미 마음 속에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관점”이라고 합니다. 또한 편견(偏見)은 “한쪽 면만 보는 것”, “한쪽으로치우친 생각”이라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한 부분만보았는데, 전부를 본 것처럼 단정을 짓는 것’입니다. 소개팅에 나온 젊은 남녀가 서로의 이미지를 체크(check)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남자의 경우에는 1~3초 정도, 여자의 경우에는1~30초로, 이 짧은 시간 안에 상대방을 호감과 비호감으로 나눈다고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찰나의 순간에 결정된 첫 인상, 첫 이미지를바꾸는데 걸리는 시간은 7~-8개월이 걸린다고 합니다. 30초 미만의 찰나의 시간으로 어떻게 한사람을 이해하고, 그 사람을 안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인간은역사를 지닌 존재’라 했습니다. 동일한 사건을 두고 사람마다 각기 다르게 반응하는 것은 각 사람이 지금까지 살아온 삶이 다르기에 해석하는 관점 또한 모두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 사람만이 지닌 독특한 삶의 배경을 모르면, 그 사람을절대로 이해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두 마리의 개를 조심해야 합니다. [선입견]과 [편견]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정죄하고 판단하였는지를 반성하며, 인간의 이해의 폭을 더욱 넓혀가기를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합니다. 열왕기상4장 29절에, “하나님이 솔로몬에게 지혜와 총명을 심히 많이 주시고 또 넓은 마음을 주시되 바닷가의 모래같이 하시니”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강물을 다 받아들여도 넘치지 않고 가뭄과 무더위에도 마르지않고 언제나 일정 수위를 유지하는 바다처럼 우리의 마음도 그러하길 기도합니다.  ‍
    Read More +

검색